중도실상(中道實相) # 중도실상(中道實相)이란 진리는 반야바라밀인 중도실상(中道實相)입니다. 중도실상의 생명관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고 대화도 하고 행동해야 분열과 갈등이 없어집니다. 또 모든 일을 진리의 조명 아래서 올바르게 처리하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도실상은 어디에도 치.. 참지혜/참 지혜 2012.07.02
고독만이 공부의 대협조자 ***일타가 상좌 혜국에게*** “고독만이 공부의 대협조자” 사람 노릇 하려면 공부 못한다. 공부는 천대 받는 생활에서 시작된다. 고독만이 공부에 대협조자이다. 앉아서 졸지 마라. 고인의 걸식정신으로 담박생애 수연지족하고 한 생각만 일으켜도 화두 간단 되거던 하물며 이야기하랴. .. 참지혜/참 지혜 2012.04.28
원력과 회향의 자비보시 원력과 회향의 자비보시 자장(慈藏)스님은 신라 선덕왕대(632-646)에 불교계를 대표하였다. 자장스님은 당시의 사람들이 불교를 믿는 마음으로 행복하기를 염원했다. 또한 불교의 신심이 개인의 행복뿐 아니라 국민 모두의 희망이 되기를 기대하였다. 그래서 자장스님은 경상도의 .. 참지혜/참 지혜 2011.11.29
[스크랩] 불교신행의 포교방안(간화선 포교) 불교신행의 포교방향(간화선의 포교) [대한불교조계종 교육, 신행전문포교사 월주 김창엽] (1) 들어가는 말 (2) 발제 내용 첫째, 간화선의 이론적 배경을 인식하고자 하는 노력 둘째, 간화선의 실천적 의미가 가지는 중요성 셋째, 간화선 알리기와 포교방법론적 입장의 정립 넷째, .. 참지혜/참 지혜 2011.11.24
세상의 주인 세상의 주인 수연 스님이 해인사에 나타났다. 그렇잖아도 법정 스님은 하안거를 난 뒤 수연 스님을 찾아보려 했는데 수연스님이 먼저 찾아 온 것이다. ‘수연스님, 오대산 상원사에서 기도하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어요, 산철에 한 번 찾아 가려고 했지요.” “법정스님, 저도 스님이 해인사 선방에 있.. 참지혜/법정스님 2011.09.15
수시로 변하는 마음의 작용들 수시로 변하는 마음의 작용들 인도의 스물 일곱 조사들께서 오직 마음의 등불을 전하셨다. 그리고 내가 중국에 온 단 한가지 이유는 이 마음이 곧 부처라는 대승불교의 즉각적인 가르침을 전하기 위해서다. 나는 계율이나 헌신 혹은 고행 수도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말과 행동, 견해나 개념은 모.. 참지혜/참 지혜 2011.09.13
일체 중생을 향한 육바라밀행 ¶ 일체 중생을 향한 육바라밀행 대승불교에서 한가지 실천적인 문제를 뺄 수 없는 것은 육행바라밀이다. 육바라밀이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여섯 가지이다. 이 여섯 가지 완전한 덕을 실천하면 인간은 누구나 마음의 고통을 없애고 열반의 경지를 수용할 수 있다. 그래서 옛 사람들이.. 참지혜/참 지혜 2011.09.13
사랑하려면 중생 슬픔 알아야 “사랑하려면 중생 슬픔 알아야” 우리는 사랑의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사랑이 있던 시절과 사랑을 잊고 산 시절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때의 마음들이 얼마나 다른지 아실 겁니다. 사랑의 마음이 가득하면 행복하고 힘이 넘치게 됩니다. 사랑이 없었던 날들을 생각해 보세요. 무기력하고 의욕.. 참지혜/참 지혜 2011.09.09
초발심을 낸 그 자리가 바로 성불의 자리/종범스님 절은 부처님께서 도(道)를 이루신 후에 도를 펴신 장소입니다. 따라서 선도후사(先道後寺)입니다. 도가 먼저고 그 다음이 절이라는 뜻입니다. 이런 까닭에 부처님께서 도를 이루시기 전에는 절이 없었습니다. 인도의 죽림정사나 기원정사도 부처님께서 도를 이루신 이후에 생겼습니다. 절에는 사격이 .. 참지혜/참 지혜 2011.09.08
한송이 눈과 같다/용아거둔 선사 직지심경 209 /용아거둔 선사 1/한 송이 눈과 같다 居遯禪師가 自嶺南來어늘 巖頭가 問曰嶺南一尊이 功德을 還成就也未아 遁曰成就久矣나 只欠點眼在니다 頭曰要點眼麽아 遁曰要니다 頭가 垂下一足커늘 遁이 禮拜한대 頭云 汝見箇甚麽道理오 遁曰據我所見인대 如紅爐上一點殘雪이니다 頭曰師子兒.. 참지혜/참 지혜 201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