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아는 것은 귀(貴)한 것이나... # 많이 아는 것은 귀(貴)한 것이나... 많이 아는 것은 귀(貴)한 것이나 그 보다 더 귀한 것은 다 털어 버리는 것이다 많이 갖는 것은 부(富)한 것이나 그 보다 더 부한 것은 하나도 갖지 않은 것이다 남을 이기는 것은 용기 있는 것이나 그 보다 더 큰 용기는 남에게 져 주는 것이다 가득 찬 그.. 참지혜/참 지혜 2012.10.26
답답할땐 거울을 들여다 봐라 우리는 이미 진리의 세계에 살고 있다. 만물은 공하므로 모든 것이 이미 완벽한 길이다. 이것을 지적으로 혹은 학문적으로 이해하려면 안 된다. 그리하려하면 안 된다. 수행을 통한 어떤 깨달음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실제로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절대이고 경계가 없으며, 나의 모든 행.. 참지혜/참 지혜 2012.08.07
청심(淸心)/경허선사 청심(淸心) 법문 / 경허선사 경허스님이 학인들과 대중들에게 법문을 하기 위해 법상에 올라 게송을 읊었다. 還得到來別無事 常樂我淨無爲道 一笑不知何處去 安眠春水碧如藍 다시 돌아오니 별일 없구나 항상 청정을 기뻐하니 도 닦을 일 없도다. 한 번 웃으니 어느 곳에 갔는지 모르고 .. 참지혜/참 지혜 2012.07.23
좌선(坐禪) 방법 1. 坐禪前의 주의사항 1)장소를 택하는 법 ○ 가능하면 환경이 고요하고 안전해서 마음 놓고 좌선할 수 있는 곳을 택해야 한다. ○ 될 수 있는대로 노랫소리, 이야기 소리, 그 외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조용한 곳이 좋다. ○ 좌선 도중 사람의 출입 염려가 없는 곳, 눈앞에 여러 가지 물건이 .. 참지혜/참 지혜 2012.07.16
이순간의 마음이 미래를 만든다(숭산스님) 이순간의 마음이 미래를 만든다 숭산스님 우리가 지금 하는 모든 말과 행동은 현생과 다음 생, 다음 생에 열매를 맺는다. 이것이 업이라고 했다. 우리는 요즘 세계 도처에서 특히 아프리카나 인도 같은 곳에서 기아의 고통에 처한 사람들을 많이 만 날 수 있다. 한쪽 나라에서는 음식이 넘.. 참지혜/참 지혜 2012.07.14
무상을 느껴라 무상을 느껴라 - 경봉스님 말씀 잠시 생각을 돌이켜 여러분들이 애지중지하는 몸뚱이를 살펴보라. 이 몸뚱이는 여러 가지의 허망한 인연을 빌려서 이루어진 것으로 인연이 다하는 날 사라져버릴 물건이다. 울음소리를 터뜨리며 태어난 뒤로, 부모다 부부다 자식이다 하면서 단맛 쓴맛을 .. 참지혜/참 지혜 2012.07.14
평상심이 바로 도이다(平常心是道) 남전화상은 어느 날 조주(趙州)가 “어떤 것이 도(道)입니까?” 라는 질문을 받고는 “평상심이 바로 도이다(平常心是道).”라고 대답했다. 마조스님의 법문에서 비롯된 이 말은 남전스님과 조주스님이 계승하여 조사선의 사상적인 법통이 되었는데, 뒷날 신찬스님이 그의 스승인 계현법.. 참지혜/참 지혜 2012.07.12
저마다 서 있는 자리에서 자기 자신답게 살라! 저마다 서 있는 자리에서 자기 자신답게 살라! 어떤 사람이 불안과 슬픔에 빠져 있다면, 그는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의 시간에 아직도 매달려 있는 것이다. 또 누가 미래를 두려워 하면서 잠 못 이룬다면, 그는 아직 오지도 않을 시간을 가불해서 쓰고 있는 것이다. 과거가 미래 쪽에 한눈.. 참지혜/법정스님 2012.07.12
맺힌 업을 풀고 살아라 사람들이 윤회와 인과를 철저히 믿고 내가 지은 업을 내가 기꺼이 받겠다는 자세로 살아간다면, 틀림없이 고통을 벗어나 복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금 이 자리' 이다. '지금 이 자리'에서 우리는 과거에 맺은 업을 푸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업을 만들게 된.. 참지혜/참 지혜 2012.07.11
참된 '나'를 찾는 방법 참된 '나'를 찾는 방법 지금부터라도 정신을 바짝 차리고 참된 '나'를 위하면서 살아간다면 우리의 앞길에는 행복과 사랑과 자유가 가득한 세계가 펼쳐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참된 '나'를 찾고 올바로 '나'를 사랑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은 수없이 많다. .. 참지혜/참 지혜 201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