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은 정신세계의 근본이고 마음은 무엇이나 보고, 듣고, 말하고, 느끼고, 생각하는 주인이다. 본래 마음은 크고, 넓고, 깊고, 높으며 깨끗한 것이다. 마음이 크다는 것은 심령(心靈)을 말하고 마음이 넓다는 것은 심량(心量)을 말하며 마음이 깊다는 것은 심사숙고(深思熟考) 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마음이 높다는 것은 뜻(心志)이 높다는 말이고 마음이 깨끗하다는 것은 심성(心性)을 말한다.
인간의 심성은 제10식 ˙ 흘리다야식(訖利陀耶識)(=眞心˙堅實心)으로 마음의 핵심인데 불성광명(佛性光明)이다. 마음의 핵심(核心)이 빛(光)을 발하면 제9식 ˙ 암마라식(菴摩羅識)(=無垢淸淨心)인 심령(心靈)이 부흥하여 밝아지고 지혜가 나온다. 그러나 제8식 아뢰아식(阿賴耶識)(=藏識 ˙잠재의식)에 탐진치(貪瞋癡) ˙ 삼독심(三毒心)이 일어나면 무명(無明)이 생겨 지혜가 사라진다. 탐진치 삼독심은 중생심(衆生心)으로 불각(不覺)이며 헌마음이다. 그리고 지정의(知情意) 삼자는 범부심(凡夫心 )으로 시각(始覺)이며 본마음이다. 또 진선미(眞善美)는 보살심(菩薩心)으로 상사각(相似覺)이며 새 마음이다. 그리고 청정(淸淨 ˙ 원만(圓滿) ˙ 중묘(衆妙)는 불심(佛心)으로 원각(圓覺)이며 참마음이다.
인간 심리(心理)는 정신적 작용으로 제8 아뢰아식과 제7 말라식(末耶𧄹)(=藏識)이 합해서 제6 의식(意識)(=眼識 ˙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이 감각기관을 통해서 일어나는 견식(見識)이다.
첫째, 지각(知覺)은 지적사고(知的思考) ˙ 정적사고(靜的思考) ˙ 의지적 사고(意志的思考)이고
둘째, 생각(生覺)은 현재생각(現在生覺), 미래생각(未來生覺)으로 과거생각은 기억(記憶)이나 추억(追憶)이라고 하고 현재생각은 사고(思考)와 사려(思慮)라 하며 미래생각은 이상(理想)과 상상(想想)이라 한다.
셋째, 감각(感覺)은 시각(視覺), 청각(聽覺), 후각(嗅覺), 미각(味覺), 촉각(觸覺)이다
넷째 환각(幻覺)은 꿈(夢)이나 착각(錯覺)인데 꿈은 잠자다가 꾸는데 현실과 비슷한 것도 있고 전혀 알 수 없는 허망한 것이 있으며 좋은 선몽(善夢)과 악몽(惡夢)이 있다 영몽(靈夢)은 직관(直觀)에 가깝다. 꿈보다 행몽(解夢)이 더 좋다는 말이 있는데, 풀이를 잘해서 참고하라는 뜻이다. 그리고 착각(錯覺)은 현실에서 사물을 보고 사실과 다르게 느끼는 것이다.
육체적으로 지(地), 수(水), 화(火), 풍(風) 사대색신(四大色身)이 혈기왕성하여 정(精), 기(氣), 신(神), 심(心)으로 발달함에 따라 정신적으로 수(受), 상(想), 행(行), 식(識), 지(知), 견(見), 관조(觀照), 지혜(智慧)로 발전하여 범부(凡夫)가 지식인(知識人) ˙ 지성인(知性人) ˙ 철인(哲人) ˙ 현인(賢人) ˙ 성인(聖人)으로 진화하는 것이 모두 다 마음의 차원이 발전(發展)해서 높아지는 것이다.
마음 가운데 가장 훌륭한 것은 지혜(智慧)다. 지혜가 없으면 인간도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매일 골육상쟁을 일삼고, 자비심이 없으면 정신문화를 창조할 수가 없을 것이다. 남을 사랑하는 자비심으로 법시(法施) ˙ 재시(財施) ˙ 무외시(無畏施)를 하고 계(戒)를 지키며 인욕(忍辱) ˙ 정진(精進)으로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얻어서 대승보살(大乘菩薩)이 된다. 현상계의 물질세계를 3차원이라고 하면 정신세계의 4~5차원은 귀계(鬼界)고 6~7차원을 신계(神界)이며 8~10차원은 도계(道界)라 할 수 있다. 10차원을 넘어서 해탈(解脫)하여 열반(涅槃)에 들기 위해서 등각(等覺), 묘각(妙覺)으로 보임(保任)을 해야 한다.
계(械) ˙ 정(定) ˙ 혜(慧) ˙ 삼학(三學)으로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을 청정하게 하는 수도과목(修道科目)은 팔정도(八正道)다. 첫째, 바른 견해(見解)로 생각과 말이 행동이 바르고, 둘째, 바른 수도생활(正命)은 바른 신념(正念)으로 정진(精進)하여 바른 선정(禪定)에 드는 것이다.
'얘기 마당 > 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눈을 떠라 (15) | 2024.11.05 |
---|---|
삿된 것을 버려라 (10) | 2024.11.02 |
한용운 스님 말씀 (4) | 2024.10.27 |
여시주 여시항복기심의 목표 (3) | 2024.10.25 |
자기 마음을 항복 받으려면 (2)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