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도승이 이 산에 팔왕(八王)의 묘자리가 있다 하여 팔왕산으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발행된 지형도에는 발왕산(發旺山)으로 기재되었다. 2002년에 다시 성할 왕에서 임금 왕으로 지명을 고쳐서 발왕산(發王山)으로 변경되었다.
높이 1,458m.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황병산(黃柄山, 1,407m), 서남쪽에 박지산(博芝山, 1,391m), 남쪽에 두루봉(1,226m), 동쪽에 옥녀봉(玉女峰, 1,146m) 등이 솟아 있다.
이 산과 동쪽의 옥녀봉과의 사이에는 황병산에서 발원한 송천(松川) 이 심한 곡류를 하며 남쪽으로 흐르고, 서쪽 사면에는 오대산에서 발원한 오대천이 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발왕산에는 1997년 11월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 · 고시된 발왕산 주목군락지가 있는데, 이 주목군락지는 평균 임령 70년, 수고 6∼16m, 경급 22∼26㎝의 최고령 주목 260본을 비롯해 전나무와 기타 활엽수가 생육하는 천연림이다.
산의 남쪽 사면은 급경사이나 북쪽의 용산리 일대는 완경사를 이루어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용평스키장이 조성되어 있고, 이에 따른 각종 부대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1999년 동계아시안게임과 1998년, 2000년, 2003년, 2005년 월드컵 스키대회, 2007년 세계인터스키대회 등의 다양한 국제대회를 개최하였다. 영동고속도로와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국 최대 규모의 스키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강원도는 2018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개최하여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 평창동계올림픽의 주요 경기장 중 하나인 용평스키장에서는 알파인 스키 남녀 11개 세부 종목 중 테크니컬 종목에 해당하는 남녀 대회전과 남녀 회전, 혼성 단체전 등 총 5개 종목의 경기가 열렸다. 특히 혼성 단체전은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처음 선보이는 종목으로 국가별로 남자 2명, 여자 2명이 한 팀을 이루어 경기를 펼쳤다.
발왕산 부근의 횡계리 일대는 이른바 '대관령면'이라고 불리는 고위평탄면으로 고랭지농업과 목축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은 가리왕산에 이어서 발왕산을 케이블카를 이용하여 올랐는데 가을 단풍철에 등산코스를 이용한 산행을 해봤으면 하는 아쉬움이 많았다.
이곳에 올빼미 형상이 많은데 올빼미 서식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된다
고사목이 참으로 아름답다.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이란 주목의 가치가 참으로 소중하게 느껴진다
'능인의 나들이 > 산울림과 메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옥천 장령산 (6) | 2024.09.01 |
---|---|
소금산 그랜드밸리(간현광광지) (8) | 2024.08.30 |
가리왕산 케이블카 (128) | 2024.08.16 |
덕유산 동엽령 (133) | 2024.08.01 |
가을에 찾은 한라산 윗새오름 (0) | 2017.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