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옛날 무량겁 전에 석가모니 부처님이 성불하기 오래전에 한 나라에 가리왕이라는 왕이 있었는데, 이 왕은 본래 폭군이었다. 어느 따뜻한 봄날 대신, 장군, 궁녀들을 데리고 사냥을 가게 되었다. 산에서 놀다가 가리왕은 몸이 좀 피곤하여 잠이 들었다. 왕이 잠이 들면 궁녀들이 옆에 있다가 행여 개미라도 기어올라갈까 염려되어 왕의 옆에서 대기하는 법인데 이 날은 대신과 장수들도 많고 그러니 궁녀들 수십 명이 산을 구경하고 싶어 왕의 곁을 떠나버렸다.
궁 안에만 갇혀 있다가 모처럼 산에 올라와서 여기저기 구경하다 보니 마침 돼지막처럼 지어 놓은 토굴이 하나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안을 들여다보니 사람이 하나 앉아 있는데 얼굴을 보니 인간 세상 사람은 아니고 백옥 같은 선풍도굴의 도사로 보였다. 세상에서 욕심 많고 심술 많고 찌든 인간들만 대하다가 욕심이 전혀 없어 보이는 신선을 보니 아무것도 모르는 궁녀들이라도 존경심이 생겨서
"선생님 여기서 무엇을 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아무것도 하는 게 없다" "그러면 무엇 때문에 여기 앉아 계십니까?" 이렇게 문답을 하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대화를 이어 갔다.
그때 왕이 잠에서 깨어 일어나 주변을 살펴보니 궁녀 수집 명이 어디로 가고 없어진 것을 알고 화가 머리끝까지 났다. 옛날 나쁜 제왕들은 시기 질투가 많고 참으로 고약했다. 자존심만 가득 차서 자신을 조금이라도 덜 좋아하는 눈치 없는 여자는 당장 목숨이 달아난다.
그런데 가리왕은 궁녀가 없어졌으니 그만 화가 잔뜩 나서 여기저기 찾다가 궁녀가 있는 곳으로 단걸음에 달려와 보니 조그만 초막에서 궁녀들이 얼굴이 잘생긴 도인 남자하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너희들, 어떤 놈하고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느냐."하고 극도의 시기심이 일어나게 되었다. 궁년들은 잠깐 동안만 갔다 온다는 것이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고 그만 임금이 잠이 깨도록 몰랐으니 이제 죽었다 싶어서 엎드려 사죄하였다.
가리왕은 신선에게 물었다. "너는 이런 산중에서 혼자 뭘 하느냐." "아무것도 아니합니다." "아무것도 아니한다면 이곳에 무슨 재미로 있느냐. 무슨 직업을 가지든지 그렇지 않으면 산중에서 도를 닦든지 무엇이든지 해야 될 것이 아니냐." 하고 묻는데 아무것도 안 한다는 것이다. "정말 네가 아무것도 안 하느냐." 하면서 칼을 빼려고 하는데도 "제가 참는 공부를 조금은 하고 있습니다." 마지못해 답을 했다. "그러면 네가 잘 참느냐. 참는 공부를 몇 해나 하였느냐." "얼마 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네가 어느 정도까지 참느냐." "참는 데까지 참습니다." 극도로 노해 있는 왕의 모습에도 불구하고 냉랭한 태도에 왕은 더 괘씸한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 네 몸을 도려내도 참겠느냐." "글 새요. 참는 데까지 참지요."
그러자 왕은 칼을 쓱 빼면서 바로 한쪽 눈을 푹 도려내 버렸다. 붉은 피가 뚝뚝 떨어지는데도 신선은 꼼짝 않고 가만히 앉아 있었다. 얼굴색 하나 변하지 않았다. 왕은 이놈의 자식 항복도 안 하고 이런 나쁜 놈이 있느냐고 또 한쪽마저 눈을 찔러 빼버렸다. 그래도 아무 말도 않고 찡그리지도 않고 등상불 마냥 가만히 앉아 있었다. 가리왕은 참는 공부를 한다고 하더라도 왕과의 말대접을 해서라도 항복을 해야 될 것인데도 이놈이 왕을 이기려고 한다며 더 화가 나서는 "네가 참는 데까지 참는다고 했으니 참아 봐라." 하고는 그만 양쪽 귀를 베어 버렸다. 그래 선인은 까닥 않고 앉아있었다. 그래도 굴복하지 않자 이번에는 양쪽 볼을 베어 이빨이 다 보이도록 했다 그래도 선인은 아무 말도 안 했다. 이런 죽일 놈 봐라 하고 양팔을 잘라내고 두 다리도 잘라 버렸다. 그래도 신선은 까딱 않고 있자 가리왕은 가슴의 젖 부분을 도려냈다.
그때 도리천 하늘의 제석천왕은 둘째 하늘의 천주인데 위에서 내려다보니 가리왕의 소행이 하도 악해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어서 곧바로 내려와서 태풍을 일으켰다. 그러니 뇌성벼락이 치면서 바위돌이 날아다니고 산이 무너지고 흙이 수십 길씩 올라갔다 내려치니 가리왕은 겁이 나서 아, 천벌이 내리는구나 하고 꿇어 엎드려 빌고 빌었다. 대신들이나 장수들 궁녀들이 흙과 돌에 묻혀 죽을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그런데 그때 선인이 제석천왕에게 말하기를 "오늘 나의 이 참는 인욕이 정말 인욕다운 인욕 이건데 내 앞에 있는 가리왕을 해롭게 하지 마옵소서."라고 간청했다. 세상 사람으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말이었다. 자기 몸을 갈기갈기 도려낸 악마 가리왕에게 피해가 없도록 해달라는 것이었다. 제가 참은 것은 전혀 아무 생각 없이 참았으며 참는다는 생각조차도 없이 참았기 때문에 이리된 것이라 했다. 이렇게 참는 것은 아주 무심한 경지에 들어하는 인욕바라밀이었던 것이다.
그때에 태풍이 싹 가시면서 앞에 거룩한 이가 나타났는데 하늘의 옥황상제가 자기 본신 형태를 그대로 나타나셨다. 천동과 천녀들을 함께 데리고 와서 인욕 선인에게 무수히 절을 하면서 하늘에 '전당포'라는 신기한 약이 있는데 이 것을 가지고 팔다리에 발라 부치고 눈에도 부치고 귀도 약을 발라 부치니 본래의 선인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하늘에서 미리 준비한 음식으로 천공(天供)을 올리고 하시는 말씀이 "미래세계에 성불하시거든 부디 우리부터 먼저 제도해 달라."라고 간청을 하고 하늘로 올라갔다.
제석천왕이 자신의 몸을 구제해 줄 때도 아무 생각 없이 무심했고 가리왕이 자신의 몸을 찢어 놓을 때도 아무 생각 없이 무심했다. 이런 경지를 도활 양무심의 인욕이라 하는 것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이렇게 참을 수만 있다면 세상은 정말 아름다운 세상이 될 텐데 요즈음 세태를 보면서 이 이야기를 다시금 생각하게 됨은 무엇일까? 의문을 갖게 된다.
'얘기 마당 > 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는 마음(장생동자의 인욕) (105) | 2024.07.12 |
---|---|
참는 마음(부르나존자의 인욕) (29) | 2024.07.09 |
전생의 원한 (82) | 2024.07.05 |
자업자득(自業自得) (29) | 2024.06.30 |
참 마음을 찾는 생활 (101) | 2024.06.28 |